Something to be seen,
    and something not to be seen



It becomes dream, me and bird.

The bird just follows the light to leave the trace.

In the light, the yearning and the waiting, the bubble is softly recognized to live.




The depth and the distance are not known.

The light, the atmosphere, and the water fill the heart.

The world over the horizontal and

The space over the cloud, that is not reached and can not be reached.

That is not reached with a map or a photograph and is not needed to be.




But the bird is flapping again.

The action can not be stopped.

It is destined to flap, even the light of water and cloud.





Light heaviness, delicate coarseness. It is the feeling from Jeon bong youl.
A prose is not seems to describe his painting enough. So, I would rather write the poem, because sometimes it is better to keep silent and just look.

The free flight to the untouched place, deep sink to metal space, yeaning for infinity, shaking from the light It is the rare case that contents of the work coincide to the form.
The contents of the work are formed by nature of the artist, and the form is obtained by practice.

The ocean painted by Jeon bong youl is not a well painted ocean.
The ocean is not physical place where sound of waves, salty smell, and the light of the sky and surface of the ocean is filled.
The ocean filled the heart of Jeon, and his heart spreads out to unphysical place.

One more is attached. The appearance of the bird makes the ocean explanatory and melancholy.
The bird can describe the flight and the ego, but without the bird, melancholy effect can be gained and the light and the space can take place the bird. Please think of this point and take care of yourself.
I wish you happy life.




                                             Choi, ki-duk

                                             (Professor, Painting Dept. Tae-gu art univ.)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보이는 것이 꿈이 되고 내가 새가 되고

새는 그저 빛을 따라 흐르면서 흔적만 있다.

빛 속에 그리움과 기다림이 있고

포말과 함께 살아있음이 여리게 확인되고




깊이도 거리도 알 수 없이

가슴을 메우는 빛과 대기와 물.

수평선 너머의 세상과

구름 뒤쪽 가보지 않은,

갈 수도 없는 심적인 공간

지도나 사진으로는 확인되지 않고

확인할 필요도 없는




그러나 새는 또 날갯짓이다

도저히 새의 비행을 말리지 못하겠다.

아무리 찬란한 물빛과 구름 빛이라도

새는 날갯짓하도록 생겼기 때문이다.





가녀린 무거움. 섬세한 투박성. 전봉열에게서 받아온 느낌들이다.
평문이라고 쓰자니 오히려 그의 그림을 수식어로 도배하거나 건조하게 만들 것 같아 어줍지 않게 시(詩)를 흉내 내 보았다.
왜냐하면 어떤 때는 말수를 줄이고 그저 보기만 해도 좋은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미답의 공간을 향한 자유비행의 꿈, 심적 공간으로의 침잠, 무한에의 동경, 빛의 파장에 의한 떨림....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일치하는 보기 드문 경우다.
작품의 내용성은 작가의 체질과 인성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형식성은 기량의 연마와 요령의 터득에서 획득된다.

전봉열이 그린 바다를 그냥 잘 그린 바다라고 생각하면 바보다.
그 바다는 파도소리가 들리고 상쾌하면서도 짠 내음이 나며, 시시각각 하늘과 수면의 빛이 변하는 물질적 존재로서의 바다가 아니다.
그 바다는 전봉렬의 마음을 메운 바다요, 또 거꾸로 그의 마음이 퍼져나간 비물질적인 영역에 속해 있다.

그리고 또 하나. 새의 등장은 바다 풍경을 설명적이거나 멜랑콜리하게 만든다.
새는 비상(飛翔)과 자아를 상징할지 모르지만 어쩌면 새가 없어도 멜랑콜리한 효과를 얻어내면서, 오히려 그저 아름답기만 할 뿐인 빛과 공간이 그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점에 대해 고민해주기를 바라며, 늘 건강하고 잘 살아주기를 원한다.




                                                                   최 기 득

                                                                   (대구예술대학교 서양화과 교수) 2004